민주당과 안철수 새정치연합의 통합신당 합의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Published by think1more,
지난 3/2일 전격적으로 발표된 민주당과 안철수 새정치연합의 통합 선언은 사람들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졌을까요? 일단 이 상황에 대해 간단한 설문조사를 했습니다. 제 페이스북과 트위터, 연구소 페이스북 페이지를 통해서 공유했습니다. 저와 연결된 지인 네트웍 중심의 결과라 일반적인 결과는 조금 다를 수 있겠지만 제가 정치적인 성향이 강한 분들과는 친분이 별로 없고 저 또한 정치적으로는 공식적으로 중립적인 입장이라 의미있게 참고할만한 정보가 될 것 같아서 그 결과를 공유합니다.
놀랍게도 이틀 정도 실시한 페이스북과 트위터 중심의 정치설문인데도 불구하고 100분이 참여를 해 주셨습니다. 이 중에서 응답결과에 신뢰가 좀 떨어지는 3건을 제외하고 총 97명의 응답에 대한 결과를 공유합니다.
### 1. 민주당과 안철수 새정치연합이 신당 창당을 통한 통합을 전격 선언 - 이번 통합 선언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세요?
1. 좋은 결정이다 — 57%
2. 좋은 결정이 아니다 — 43%
3. 다른 의견은? — 7%
이 질문은 통합 선언에 대해서 복잡한 심경보다는 그냥 직관적으로 어떤 느낌이 드는지 파악을 하기 위한 질문이었습니다. 좋은 결정이다라는 응답이 57% 이고 좋은 결정이 아니라고 응답이 43% 였습니다. 흥미로운 것은 첫날 초반에는 70% 가까운 분이 좋은 결정이라고 응답을 했었는데 그 후 시간이 지날수록 좋은 결정이 아니라는 응답자가 늘어났다는 것입니다. 온라인 설문조사의 강점은 이렇게 설문의 시간대별 흐름까지 파악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힘든 정성적인 반응의 다른 의견은 기회가 된다면 오프라인에서 편하게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 2. 다가오는 6.4 지방선거에 투표를 하실건가요?
1. 투표할 예정이다 — 88%
2. 아직 잘 모르겠다 — 6%
3. 투표안할 예정이다 — 6%
4. 기타 — 1%
이 질문은 이번 6월4일 지방선거에 대한 투표의지를 함께 확인하고 싶었던 질문이며 6.4 지방선거에 대한 투표 독려를 위해 마련한 착한 질문입니다. ^^ 대부분의 이런 유형의 질문에서 투표를 안할 예정이라고 분명한 의지를 드러내는 분들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라는 정성적 믿음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번 설문을 통해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투표 당일이 되기 전까지 의지적으로는 투표를 해야 한다는 이성적 판단으로 설문에 참여한다는 것을 분명하게 확인했습니다. 그리고 이런 투표 참여의지와 이번 이슈에 대한 연계성을 어느 정도 확인하고자 하는 설문이었습니다.
### 3. 당신이 선호하는 정당은?
1. 새누리당 — 22%
2. 민주 + 새정치연합 = 통합 신당 — 78%
3. 그 외 — 14%
이 질문은 과연 통합 신당이 앞으로 어느 정도의 정치적인 영향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예상 질문이었습니다. 그리고 한 편으로는 새누리당 지지에 대한 반응까지 알아볼 수 있는 질문이었습니다. 1번 설문과 연계하여 분석해 볼 수 있는 질문인데요 흥미로운 것은 통합 신당에 대한 선호도가 78%나 되었다는 점입니다. 1번 질문에서 시간이 흐르며 좋은 결정이 아니라는 의견이 많아졌는데 선호 정당에서는 크게 새누리당으로 쏠림 현상이 생기는게 아니고 일부가 그 외 기타 의견을 주는 쪽으로 선택을 했고 다수가 정당 선택은 통합 신당에 기대를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기타 의견에 참고할만한 사항들이 좀 있는데 상황으로는 부동표 층으로 봐도 될 듯 합니다.
### 4. 당신의 연령대는?
1. 20세 이하 — 0%
2. 20세 ~ 29세 — 16%
3. 30세 ~ 39세 — 35%
4. 40세 ~ 49세 — 38%
5. 50세 이상 — 10%
1번 보기와 2번 보기에 20세가 겹친다고 클레임이 없었는데 제가 예상한대로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았네요. ^^ 이번 연령대는 투표권 자체에 대한 자격을 묻는 의미보다는 이러한 이슈에 관심을 가지는 연령대에 대한 관심이 어떻게 되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의도가 있었습니다. 초반에는 저랑 가까운(?) 40대의 참여가 많았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다른 연령대로 참여의 폭이 넓혀지는 현상이 있었습니다. 소셜네트워크의 특성상 가까운 관계에서 조금 넓은 관계로 확장되는 현상이 이번 설문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 질문은 연령대별 질문들에 대한 편차를 살펴보면 더 재미있는 분석이 가능합니다.
### 5. 성별은?
1. 남자 — 77%
2. 여자 — 23%
이 결과는 어렴풋이 짐작은 하고 있었지만 여성분들의 정치관심이 남성분들과는 크게 차이가 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결과가 되었습니다. 물론 제 소셜네트워크 친구분들 중에서 (정확하게 세어보지는 않았지만) 남자분들이 많긴 하지만 댓글이나 좋아요를 남겨주시는 분들 중에서 여성분들도 많은데 설문 참여에 남여 편차가 크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 마무리
이번 설문조사는 통합 신당에 대한 의미, 정치인 안철수에 대한 반응, 현재 정당구조에 대한 반응 등을 살짝 엿보기 위해 실시된 설문입니다. 그리고 일반 리서치 회사에서 전통적으로 실시하는 설문조사 방법은 아니며 온라인과 소셜미디어에 적합한 가벼운 설문조사 방법입니다. 하지만 이 공간은 누구도 통제하지 않고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공간의 설문조사 방식이라 전통적인 설문조사 방식과 함께 또 다른 관점의 의견을 모아볼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합니다. 온라인 설문은 실시간으로 참여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그리고 아주 중요한 설문에 대해서 가볍게 관련된 사람들의 정서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설문조사 결과를 더 잘 정리하느라 공유가 늦어지는 것보다 이정도에서 공유하는게 나을 것 같아서 공유합니다. 행간에 숨어있는 의미들은 또 더 잘 이해해 주시리라고 믿습니다. ^^
소셜미디어 공간을 통해 이런 정치적인 이슈뿐만 아니라 사회적 이슈와 기업의 이슈 등을 가벼운 설문조사로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위기관리 및 소셜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전략들을 수립하는데 활용하고자 합니다. 소셜미디어 공간은 목표고객의 직접적인 감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좋은 공간이자 기회를 제공합니다. 앞으로 다양한 이슈, 다양한 기업, 기관들과 이런 소셜미디어 설문조사를 진행해 보고자 합니다. 관심 있는 분들은 언제든지 연락주세요~ ^^